본문 바로가기
조아하는거/사진

사진용 노출표를 만들어 보았읍니다. (노출계 없는 카메라를 위한 글)

by 시무정 2025. 2. 12.
반응형

 

 


"두뇌 풀가동!"


 

 

분명 제가 카메라 노출표와 관련된 자료는 작성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뭐 암튼 그렇게 됐슴다 ^_^


1. 노출 3요소에 대하여

사진에서 노출은 이미지의 밝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노출을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사진이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게 나올 수 있습니다. 

노출값은 3요소를 통해 조절됩니다: 조리개 (Aperture), 셔터 속도 (Shutter Speed), ISO입니다.

https://reviewhoony.tistory.com/15

 

노출의 3요소 :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feat. 카메라 수동모드)

안녕하세요 후니입니다! 오늘은 노출을 결정하는 3요소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진을 표현하는 3대 요소라고도 이야기 합니다) 지난번에 카메라 노출에 대해서 설명드렸는데, 노출의 3요소를 설

reviewhoony.tistory.com

 

더 자세한 내용은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ㅎ_ㅎ


1) 조리개 (Aperture)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로, f-stop 값에 따라 사진의 깊이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낮은 f-stop 값 (예: f/2.8)은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며 배경이 흐릿하게 나옵니다. 높은 f-stop 값 (예: f/16)은 빛을 적게 받아들이며 더 넓은 범위의 초점이 맞춰집니다.

2) 셔터 속도 (Shutter Speed)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의 길이를 결정합니다. 빠른 셔터 속도 (예: 1/1000초)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포착하고, 느린 셔터 속도 (예: 1/30초)는 흐릿한 효과를 줍니다.

3) ISO

필름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낮은 ISO (예: ISO 100)는 밝은 환경에서 적합하며, 높은 ISO (예: ISO 1600)는 어두운 환경에서 노이즈가 적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 반대로 사용하면.. 시커먼 사진 또는 노이즈 잔뜩 낀 사진을 얻는 쾌거를 누릴 수 있습니다 ㅋㅅㅋ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나를 변경하면 다른 두 요소를 적절히 조정해야 합니다. 

그치만 보통 필름의 ISO가 고정값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조리개와 샤따스피드만 신경써주면 됩니다.

 

 


2. ND필터

복병이 하나 있는디유,,,

 

ND필터란 것이 있스비다.

이게 뭐냐면,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줄여주는 필터입니다.

 

이 필터를 사용하면, 주간에도 장노출을 사용한 촬영 기법을 선보일 수 있습니다 ㅎ_ㅎ

ND필터는 보통 필터 옆에 2, 4, 8 이런식으로 2의 배수로 값이 써져 있는데, 

2의 N승 개념으로 써있다고 보면 편합니다.

 

만약에 ND8 필터라고 한다면 2^3 이고, 3스탑만큼 빛을 줄여준다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f1.4에 s.s 1/250으로 촬영할 때, ND8을 사용하게 된다면?

 

셔터스피드를 3스탑 낮춰서 1/30까지 개방할 수 있게 됩니다.

 

주간에 ND필터 없이 f1.4에 1/30s 개방하면 아마 핵분열 순간을 담은 사진과 비슷하게 나올지도 모릅니다 ㅎㅅㅎ;;

 

아 그리고 ND값이 1이면 필터가 없는겁니다.!!!!!!

ND1 필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3. 노출표

제가 그래서 ND필터의 값과 노출 3요소를 적재적소에 쓸 수 있도록 노출표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싸그리 외우면 되는데요,

이게 원리가 있습니다.

 

일단 노출 기준점을 하나 잡아야 합니다.

 

ISO 100

S.S. 1초

F : 1.0

 

위 기준일 때 노출을 0스탑이라고 하겠습니다.

만약 여기서 f가 1.4가 되면 1스탑이고

셔터스피도 동시에 1/2초로 줄어들면 2스탑이 되는거죠.

 

 

표로 정리하면 이와 같습니다.

 

그리고 각 날씨별로.... 몇스탑으로 찍어야 하는지 이미 정보들이 있습니다.

 

눈/설경 , 화창 , 구름 조금 , 흐림 , 일출 , 실내

각 장소별로 몇스탑이 권장되는지 적어놨습니다.

 

이건 말그대로 권장값이지 절대값은 아닙니다.

 

대충 헷갈리면 1~2스탑 밝게 찍으시면 됩니다. ㅎㅅㅎ

 

근데 표가 보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 다른 표를 하나 더 만들었는데요

 

 

각 상황별로 조리개값과 샤따스피드를 앞서 보여드린 표에서 찾아오도록 만들어놨싑니다.

 

저기 빨간 글씨는 수정이 가능하죠 ㅎㅅㅎ

 

예를들어 ND필터 8을 낑궈주고, ISO 400감도 필름을 쓰신다면...

 

 

이렇게 나옵니다.

아 그리고 범위를 벗어난 상황은 노출값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4. 엑셀파일 공유

이거 엑셀파일로도 공유합니다 ㅎㅅㅎ

 

빨간색 표시된 부분은 수정 가능하고요!

혹시 가져다 쓰시면 출처 표기만 좀 부탁드려요

 

 

light meter.xlsx
0.12MB

 

 

 

 

근데 이거보다 더 좋은방법이 하나 있긴 한데,,,


5. 노출계 어플 쓰시면 더 좋습니다.

iOS : 

 

‎Lightmate

‎Lightmate is a simple light meter app for photographers. The user interface is designed with clarity in mind. Features: • Aperture and shutter priority modes • Multiple EV scales (iOS Settings > Lightmate) • Back and front camera support Instructi

apps.apple.com

 

Android : 

 

Light Meter - Lite - Google Play 앱

반사된 라이트 미터 및 입사광 미터입니다.

play.google.com

 

 

이거 쓰면 진짜 편하긴 한데, ...

 

그래도 머릿속에 어느정도 적정노출값 기억해두면 진짜 좋습니다!


그럼 20,0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