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만 말하면 둘 다 똑같음"
콘덴서가 캐패시터고, 곧 축전기입니다.
일반적으로 두장의 전극판(Plate)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전극판에는 극성이 있어서...
+/-로 구분되는 친구들이 있죠.
콘덴서는 전기를 모아놓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원이 끊겨도 콘덴서에 모인 전기가 방전될 때까지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콘덴서는 극성이 있는 친구들과 없는친구들이 있는데.... 오늘 제가 이 글을 쓰게 만든것은 바로 전해 콘덴서 때문입니다.
전해 콘덴서들은.. 대부분 극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 기억으론..)
근데 전해 콘덴서인데 bi-polar 라고 이름이 붙여진 친구들이 나타난겁니다?
지금 껏 non-polar라고 극성이 없다는 말은 들어봤는데...
극성이 양쪽다 있다는건 왜일까?
왜 굳이 non-polar라는 표현은 안쓰는걸까 라고 고민하다가 구글링을 해봤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이 친구들은 극성이 없는 콘덴서와 똑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어느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거죠!!
왜 용어를 다르게 해서 혼동을 주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일단 둘이 똑같다는건 알았으니 좋ㄴㅔ요.
그럼 20,000..
반응형
'행복한거 >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공부를 시작했어요 (0) | 2023.07.2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