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헌절 :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의 헌법을 제정한 날
1. 공휴일 폐지 사유
제헌절은 1950년부터 2007년까지 공휴일이었습니다.
2003년 주5일 근무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도대체 그전 까진 어떻게 토요일도 일을 했냔 말이냐 이거죠)
기업측에서
"쉬는 날이 너무 많으면 근로시간 감축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우려된다."
라는 의견을 정부에서 수용해서 2008년부로 공휴일이 폐지되었습니다.
2. 공휴일 재지정 가능성은?
공휴일이 아니게 되면 그냥 평범한 날로 지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국경일이랑 평일이랑 다른점이 있어야 사람들이 기억을 하겠죠..!
2012년에 한글날이 공휴일로 지정된 것처럼, 다시 공휴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미 6월 말 제헌절 공휴일 지정 법안이 다시 발의가 되었습니다.
논의가 잘 이루어진다면 빼앗긴 공휴일 하나를 되찾을 수 있을....것입니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98463
3. 제헌절은 어떤 날인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을 만든 날로 대한민국 국경일입니다.
올해 2023년은 제헌절 75주년이기도 하구요.
우리나라에는 5대 국경일이 있는데,
1. 삼일절(3월1일)
2. 제헌절(7월17일)
3. 광복절(8월15일)
4. 개천절(10월3일)
5. 한글날(10월9일)
이렇게 총 다섯 개 입니다.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로운 날로 큰 행사가 열리며 대부분 공휴일로 지정해 이날을 기념하는데, 제헌절만 지금 몬가 왕따를 당하는거 같네요.
그리고 제헌절은 일단 휴가철에 껴있는데, 도대체 왜 이걸 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석가모니랑 예수님 생일은 챙겨주면서, 헌법은 안챙겨주는 아이러니함)
그럼 20,000..
'해야하는거 > 평범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경점 가지 말고 어플로 실시간 안경 피팅해보기 (라운즈 후기) (0) | 2023.07.26 |
---|---|
와이셔츠 목때를 제거해보자 (주방세제 or 과탄산소다) (0) | 2023.07.23 |
에어컨 없이 실내 온도를 낮추는 방법 4가지를 알아보자 (0) | 2023.07.14 |
2023년 한국사 시험 일정 정리 (0) | 2023.07.12 |
출생년도별 띠(12지)를 알아보자 (0) | 2023.04.26 |
댓글